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행기 창밖에서 본 미스터리 시설, 인천 LNG 기지 탐방기

by Voyage info 2024. 6. 30.

비행기 창밖에서 본 미스터리 시설, 인천 LNG 기지 탐방기
비행기 창밖에서 본 미스터리 시설, 인천 LNG 기지 탐방기

 

비행기 창밖에서 본 미스터리 시설, 인천 LNG 기지 탐방기

인천국제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이착륙할 때 창밖을 보면, 인천 송도국제도시 인근의 대규모 시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시설은 흡사 군용 벙커처럼 생겼으며, 비행기가 고도를 높이면 점점 작아져 마치 장독이 가지런히 놓인 장독대 같아 보입니다.

지도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검색해보지만 지도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위성 지도로 바꾸면 위성 사진은 확인할 수 있는데, 분명 비행기에서 본 게 맞는데 대체 뭘까요?

그 궁금함이 최근 해결되었습니다.

이 시설은 바로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생산하는 한국가스공사 인천 LNG 기지였습니다.

국가중요시설, 인천 LNG 기지

인천 기지는 국가중요시설에 해당해 지도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사진이나 영상 촬영도 제한되고, 방문자는 개인정보 등 사전에 등록해야 출입할 수 있습니다.

가스공사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인천 기지의 문을 일시적으로 열었습니다.

방문 준비와 가스과학관

기지 입구 앞에는 방호벽이 지그재그로 놓여 있어 차량 속도를 줄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본격적인 기지 방문에 앞서 가스과학관에서 대략적인 소개를 들었습니다.

가스과학관은 학생이나 일반인에게 공개되는 장소로, 예약만 하면 언제든지 방문할 수 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 세계 최대 수준의 인천 LNG 기지

도시가스뿐 아니라 발전소, 산업단지 등에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사의 국내 LNG 기지는 평택·인천·통영·삼척·제주 5곳에 있습니다.

인천 기지는 1996년 10월 첫 상업 운전을 시작했습니다.

주로 인천과 서울을 포함해 수도권 서쪽 지역에 공급되는 가스는 대부분 인천 기지에서 기화(생산)한 것입니다.

지난해 1207만4000톤을 생산해 국내 가스 생산의 33.2%를 담당했습니다.

인천 기지의 설비 규모는 국내뿐 아니라 세계 최대 수준입니다.

탱크는 23개로, 총 155만5560톤(348만㎘)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시간당 6270톤을 생산할 수 있는데, 생산량은 수요에 따라 정해집니다.

역대 가장 수요가 많았던 2021년 1월 8일에는 하루에만 9만4000톤을 생산했습니다.

한국은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LNG를 많이 소비하는 국가입니다.

미국이나 유럽 등은 액체로 수송하는 LNG가 아니라 대부분 파이프를 통해 수송되는 천연가스(PNG)를 사용합니다.

인천 기지의 다양한 탱크 종류

인천 기지에는 3가지 종류의 탱크가 있습니다.

탱크 바닥 아래 기둥을 받쳐 지면에서 띄운 고상식, 탱크 대부분이 지하에 묻혀 있는 지중식, 탱크 바닥이 지면과 붙어 있는 지상식입니다.

지중식의 모습은 땅에 묻혀 있는 장독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안정성 등을 이유로 과거에는 고상식·지중식 탱크를 사용했지만, 기술 발달로 현재는 대부분 지상식으로 짓고 규모 6.5 지진도 견딜 수 있다고 가스공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탱크의 크기는 조금씩 다르지만, 가장 큰 지상식의 경우 높이만 아파트 25층에 해당하는 50미터에 달합니다.

기지의 핵심 역할: LNG 저장과 공급

기지의 핵심 역할은 해외에서 배로 들여오는 LNG를 저장하고, 필요한 만큼 기체로 바꿔 주 배관에 공급하는 것입니다.

가스 자체는 냄새가 없어, 일명 ‘가스 냄새’로 통용되는 냄새를 첨가하는 것도 기지에서 하는 일입니다.

부두와 LNG 수송선

인천 기지에는 접안이 가능한 부두 2곳이 자리합니다.

1부두는 7만5000톤급, 2부두는 12만7000톤급 LNG 수송선이 정박해 하역할 수 있습니다.

요즘 같은 여름철이면 하루 1대, 가스 수요가 많은 겨울철에는 하루 2~3대가 인천 기지를 오갑니다.

이날 오후 2부두에서 하역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정박해 있는 LNG 수송선인 ‘SM 이글호’가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주 사빈 패스에서 실은 셰일 가스를 하역하고 있었습니다.

고형탁 SM 이글호 선장은 “파나마 운하를 거쳐 오면 30일이면 한국에 도착하는데, 최근 파나마 운하가 가물어 이용 횟수를 제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에 대서양 쪽으로 왔는데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로 수에즈 운하가 아닌 희망봉을 경유하다 보니 42일 걸렸다”고 덧붙였습니다.

LNG 수송선에는 공 모양 탱크가 달린 모스형, 각진 사다리꼴 모양 탱크가 달린 멤브레인형이 있습니다.

멤브레인이 저장량에서 효율적이라 최근에는 멤브레인형으로만 주문한다고 했습니다.

SM 이글호는 멤브레인형으로, 2017년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에서 만든 총 톤수가 11만5700톤인 선박입니다.

냉각된 LNG 설비와 하역 과정

섭씨 30도를 웃도는 무더운 날씨였지만 마이너스 160도인 LNG가 이동하는 설비(암·Arm)는 하얀 성에, 얼음덩어리가 뒤덮고 있었습니다.

바람에 얼음덩어리가 날아가도 금세 새로운 얼음덩어리가 암을 휘감았습니다.

날아가는 얼음덩어리는 공중에서 조각나 눈처럼 주변에 휘날렸습니다.

기화 방식과 경제성

저장 탱크 속 LNG를 기화하는 방식은 해수식, 연소식 두 가지입니다.

해수식은 밀푀유나베처럼 가스관을 얇게 세워두고 위에서 바닷물을 부어 데우는 방식이고, 연소식은 가스를 태운 열로 데우는 방식입니다.

최선환 인천기지 설비운영1부장은 “해수 온도가 5도 이상만 되면 해수식을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경제성이 좋아 주로 해수식을 사용하는데, 겨울에는 해수가 5도 밑으로 떨어지고 수요가 많아지다 보니 연소식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안정성을 위한 노력

국내 가스 공급의 33%, 수도권만으로는 65%를 담당하는 인천 기지 운영에서 가장 중요한 건 안정성입니다.

고장이나 사고, 위협에 최대한 대비하고 있다고 가스공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김영길 인천기지본부장은 “어떤 상황에서도 가스 공급이 중단돼서는 안 되기 때문에 탱크나 전력 설비 모두 서로 백업할 수 있도록 나눠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드론 위협에도 대응하기 위해 2021년 12월 전파 교란으로 드론을 무력화하는 시스템도 구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